지역명산

지리산 | [산&산] <279> 함양 백운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12,481 작성일13-08-07 09:49
주소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본문

▲ 분명 첫눈이 오신 것이다. 서래봉을 지나 안부에서 백운산 정상을 향해 올라서는데 제법 눈이 많이 쌓여 있다. 바야흐로 겨울산행 시즌이 되었다.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순간부터/ 나무는 가장 아름답게 불탄다// 제 삶의 이유였던 것/ 제 몸의 전부였던 것/ 아낌없이 버리기로 결심하면서/ 나무는 생의 절정에 선다// 방하착(放下着)/ 제가 키워온,/ 그러나 이제는 무거워진/ 제 몸 하나씩 내려놓으면서// 가장 황홀한 빛깔로/ 우리도 물이 드는 날(도종환 시인·단풍 드는 날 전문).

함양 백운산(白雲山·1,279m) 큰골 낙엽 쌓인 길을 걷다가 문득 시인이 되고 싶었다. 되고 싶다고 다 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도종환 시인의 시 한 편을 읊조렸다. 겨울 초입의 나무들은 제 몸의 것을 아래로 가만히 내려놓았다. 시인은 나무가 낙엽을 벗어내는 것을 집착을 벗는다는 의미의 '방하착'으로 표현했다. 이번 산행에서 못된 집착 하나 내려두고 오면 좋겠다.



지리산 아래의 심심산골 함양 백운산은 37번 국도에서 곧바로 산행이 시작된다.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의 백운교에서 석장승~백운암~용소~화과원 갈림길~밧줄코스~서래봉 갈림길~너덜지대~안부~1214봉~백운산 정상~중봉~하봉~묵계암 갈림길~상연대~묵계암~백운교 9.7㎞를 돌아오는데 4시간50분이 걸렸다.

37번 도로를 벗어나 오르자 이정표와 갈림길이 나온다. 오른쪽은 백운암을 거쳐 큰골로 가는 길이고, 왼쪽은 나중에 하산할 미끼골이다. 몇 개의 펜션을 지나자 제법 널찍한 터 앞에 석장승이 2기 서 있다. 영은사지 석장승이다. 조선 영조 때인 1765년 만들었단다. 창녕 관룡사의 그것과 꽤 닮았다. 코가 크고 수염이 억세어서 표정이 익살스럽다.

석장승을 지나 백운암으로 곧장 갈 수도 있으나 붉은 감나무가 손짓하는 오른쪽 길을 택한다. 전지를 해서 나지막한 단감나무와 달리 홍시를 먹는 떨감나무는 하늘을 향해 한껏 키를 키웠다. 잎은 다 떨어지고 열매만 남아 붉은 전등을 수백 수만 개 달아놓은 듯하다.

17분쯤 지나 계곡을 건너 백운암에서 물 한 잔을 마셨다. 겨울산행은 여름과 달리 1L 물 한 병만 챙겨가도 남는다. 백운암의 물맛이 좋아 양껏 마셨다.

이제 본격적인 계곡 산행이 시작된다. 백운산 큰골이다. 물길을 이리 건너고 저리 건넌다. 낙엽이 많이 쌓여 어디가 물인지 어디가 돌인지 분간이 안되니 주의해야겠다. 고로쇠나무가 많다.

백운산 고로쇠 약수가 효험이 좋아 유명하단다. 그런 때문인지 얼기설기 고로쇠물을 받는 검은 호스가 계곡을 따라 계속 이어진다. 맑다 못해 푸른 용소를 지나니 화과원 갈림길이 나온다. 백운암에서 20분이 더 걸렸다.

화과원(華果院)은 옛적 적멸보궁이 있었다고 한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니 불상이 없는 절이다. 기미독립선언을 한 33인의 한 사람인 용성 스님이 선농일치(禪農一致)를 주장하며 대각교를 창설한 뒤 수도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는 절이다. 화과원을 거쳐 서래봉으로 갈 수도 있지만, 큰골을 좀 더 오르기로 한다.

큰골을 따라 35분을 더 걸으니 오른쪽 능선으로 산길이 이어진다. 계곡을 버리고 급한 사면을 오르는 길이다. 하얗고 굵은 밧줄을 매어 놓았다. 밧줄씩이나 있다고 생각했는데, 밧줄이 꼭 있을 자리가 맞았다. 호흡은 급해지고, 땀이 솟기 시작했다. 20분을 쉼 없이 올라 고도를 많이 높였다. 맞춤한 쉼터에서 숨을 골랐다.

쉼터를 지나 지릉에 올라섰다. 리본은 왼쪽에 많이 달렸는데 정면으로도 길이 잘 나 있다. 리본을 따랐는데 이 길은 서래봉 아래 9푼 능선 길이었다. 오히려 직진을 해서 주능선에 올라서면 서래봉도 구경하고 더 좋을 뻔 했다. 너덜지대를 지나 1214봉이 바라보이는 안부까지 40분이 걸렸다.



눈이 내렸던가. 지리산 두류봉 인근에서 난 산불이 진눈깨비의 도움으로 빨리 꺼졌다는데 지리산에서 지척인 이곳 백운산에도 눈이 내렸던가 보다. 며칠을 버텨 막 녹기 시작하는 것이라 응달이 아니고는 많이 쌓여 있지는 않았다. 그래도 어딘가. 첫눈을 보는 것인데. 어느덧 백운산은 겨울인 것이다.

고로쇠나무도 굴참나무도 모두 겨울 준비를 다 끝냈다. 이제 북풍한설에 묵묵히 버티고 서는 일만 남았다. 혹독한 겨우내 나무들의 꿈은 어떤 색일까. 여름의 화려했던 녹음일까. 봄날의 연초록 새잎일까. 아니면 굵고 탐스러운 도토리나 열매를 키워낸 얼마 전의 가을날일까. 겨울을 견뎌낼 그들의 지혜를 엿듣고 싶다.

1214봉까지는 단숨에 올랐다. 능선 정비를 잘해 일부 구간은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다. 그 곳에 눈은 탐스럽게 쌓였다.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으며 산행을 한다. 자랑할 일 하나가 생겼다. 가을이 채 다 가기도 전에 눈산행을 하는 호사를 누렸으니까.

주위가 많이 낮아졌다. 이제 둘러보아도 더 높은 산은 보이지 않는다. 남쪽을 두른 지리산 주능선은 아쉽게도 보이지 않는다. 오후부터 비 올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더니 곧 진눈깨비라도 뿌릴 듯이 하늘이 잔뜩 찌푸렸다. 북쪽의 덕유산도 가슴에만 새긴다. 능선 어디쯤에서 도시락을 먹었다. 보온통에 담아온 국물이 따뜻하다.

점심까지 먹고 일어서서 백운산 최고봉에 섰다. 안부에서 1시간이 걸렸다. '백두대간 백운산' 비석이 큼지막하게 서 있다. 흰구름산이란 뜻의 백운산은 같은 이름을 가진 전국의 30여 개 '백운산' 가운데 높이나 위세가 으뜸이란다. 특이한 것은 백운산을 지나자마자 호남정맥이 갈라져서 디귿자 모양으로 전라도를 한 바퀴 두른 뒤 섬진강 건너편의 광양 '백운산' 끝이 나는 것이다. 백운산과 호남정맥의 인연이 묘하다.

중재로 가는 백두대간을 바라보며 중봉으로 하산을 한다. 10분을 내려서니 무덤 하나가 있고 곧 중봉이다. '전망대'라고 이정표에 써 놓았다. 날씨가 흐려 먼 곳의 조망은 별로이나 발아래 단풍 물결은 아름답다. 좋은 날씨에 대한 욕심만 버리면 더 행복해지겠다.

중봉에서 하봉을 지나 묵계암 갈림길까지 금세 와버렸다.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상연대로 내려서니 어찌 이런 자리에 절집을 차렸을까 싶을 정도로 높은 자리에 우뚝 솟아 있다. 신라 말인 서기 924년 최치원 선생이 어머니의 기도처로 건립한 절이라고 하니 오래도 되었다.

상연대부터는 길이 포장돼 있다. 낙엽송이 샛노랗게 익었다. 투명하고 맑은 노란색은 상큼하다. 묵계암을 지나 정신없이 내려오니 40분 만에 백운교에 도착했다. 산행 문의: 라이프레저부 051-
461-4164. 홍성혁 산행대장 010-2242-6608. 글·사진= 이재희 기자 jaehee@busan.com





▲ 백운교에서 바로 올라서면 백운산 등산로가 시작된다. 오른편은 백운암, 왼편은 상연대로 가는 코스이다.


▲ 길가의 키 큰 감나무가 빨간 감을 매달고 있다. 가을이 깊었는데도 거두는 사람이 없다.


▲ 백운산 큰골의 푸른 계곡, 흘러내린 낙엽이 꽃잎같다.


▲ 단풍나무가 곱다. 아랫쪽에는 간간히 단풍이 남았지만, 백운산 정상부는 이미 겨울이었다.


▲ 낙엽이 푹신하게 깔린 산길을 걷는 재미가 있다.


▲ 화과원으로 갈라지는 자리에 있는 이정표


▲절골을 한 참 올라 물을 건넌다. 식수를 준비하라고 했지만, 능선으로 오르는 길을 만나기까지 계곡을 두어차례 더 만난다.


▲ 큰골을 버리고 능선을 오르기 위해 급사면을 오른다. 된비알이 고달프지만 고도가 금세 높아지는 잇점은 있다.


▲ 된비알을 올라 지릉에 서면 서래봉으로 가는 길과 왼쪽으로 우회하는 길이 보인다. 직진을 해서 서래봉을 올랐다가 정상으로 가는 길도 괜찮겠다.


▲ 1214봉과 서래봉 사이에 있는 안부.


▲ 백운산 주능선은 길이 잘 나 있어 걷기에 좋다.


▲ 첫눈이 내렸던가 보다. 능선 곳곳에 눈이 쌓여있다. 첫눈 위에 발자국을 찍어보았다.


▲ 백운산 정상석. 아래 헬기장쪽엔 산림청에서 세운 커다란 백두대간 정상석이 또 있다.


▲ 하봉으로 내려서는 이정표. 중재는 백두대간길이다.


▲ 명당터로 알려져서 그런지 오래된 무덤이 많다.


▲ 묵계암으로 바로 내려서는 능선길과 상연대로 가는 길이 나뉜다. 상연대로 간다.


▲ 상연대 요사채가 높은 자리에 있다.


▲ 뒤돌아본 상연대. 신라시대 고운 최치원 선생과 관련한 전설이 전해온다.


▲ 묵계암 대웅전. 절 마당이 널찍하다.


▲ 묵계암에서 백운교로 내려오는 길은 낙엽송 단풍이 황홀하다.


[산&산] <279> 함양 백운산 산행지도
그래픽=노인호 기자 nogari@























































[산&산] <279> 함양 백운산 가는길 먹을곳
부산 사상 서부시외버스터미널(1577-8301)에서 무정차로 함양까지 곧바로 가는 직통은 하루 6차례(7:00 9:00 11:00 13:00 15:00 17:00, 요금 1만 500원, 1시간50분 소요) 있고, 진주를 거쳐가는 직행버스(3시간 소요. 1만 3천700원)는 오전 5시 40분부터 오후 7시 41분까지 8~20분 간격으로 자주 있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055-963-3281)에서 병곡, 백전을 지나 신촌까지 가는 지리산고속 군내버스(07:40 08:00 09:30 10:20 11:20 12:20 14:30 15:20 16:20 17:30 19:40, 요금 2천 원, 30분 소요)를 타고 백운교 앞에서 내리면 곧바로 산행이 시작된다.

산행을 마친 후 신촌에서 함양으로 나오는 군내버스(08:20 08:50 10:10 11:00 12:00 13:00 15:10 16:00 17:00 18:10 20:20)를 탄다. 함양에서는 부산으로 오는 직통버스(08:00 10:00 12:00 14:00 16:00 18:30)를 기다렸다가 타면 진주를 거치는 직행버스보다 빠르다.

자가용 승용차 이용하려면 남해고속도로를 탄다. 진주를 지나면 대전통영고속도로로 합류한다. 함양IC에서 내려 함양 시내를 통과한 후 상림을 지나 백전면으로 가는 국도를 타면 된다.

추어탕을 기가 막히게 잘하는 집이 있다. 함양 현지 사람들은 민물고기 어탕보다 오히려 미꾸라지로 끓인 추어탕을 더 선호한다고 한다.

함양시장에 있는 울산식당(055-963-3317)의 추어탕(6천 원)이 맛깔스럽다. 여타의 추어탕과 별반 다르지 않으나 하루가 지나니 또 먹고 싶은 생각이 든다. 어탕국수(5천 원)도 같이 취급하나 사람들은 추어탕만 찾는단다.

함께 나오는 반찬은 딱히 별스럽지는 않다. 콩비지를 간간하게 간을 해서 내놓는다. 의외로 훌륭한 반찬이다. 미역무침이나 무채도 낯설지 않다. 어머니의 손맛을 느끼고 싶은 사람이라면 추천하고 싶다. 이재희 기자
2010-11-18 [16:23:00] | 수정시간: 2010-11-24 [07:02:16] | 28면





▲ 백운교에서 바로 올라서면 백운산 등산로가 시작된다. 오른편은 백운암, 왼편은 상연대로 가는 코스이다.


▲ 길가의 키 큰 감나무가 빨간 감을 매달고 있다. 가을이 깊었는데도 거두는 사람이 없다.


▲ 백운산 큰골의 푸른 계곡, 흘러내린 낙엽이 꽃잎같다.


▲ 단풍나무가 곱다. 아랫쪽에는 간간히 단풍이 남았지만, 백운산 정상부는 이미 겨울이었다.


▲ 낙엽이 푹신하게 깔린 산길을 걷는 재미가 있다.


▲ 화과원으로 갈라지는 자리에 있는 이정표


▲절골을 한 참 올라 물을 건넌다. 식수를 준비하라고 했지만, 능선으로 오르는 길을 만나기까지 계곡을 두어차례 더 만난다.


▲ 큰골을 버리고 능선을 오르기 위해 급사면을 오른다. 된비알이 고달프지만 고도가 금세 높아지는 잇점은 있다.


▲ 된비알을 올라 지릉에 서면 서래봉으로 가는 길과 왼쪽으로 우회하는 길이 보인다. 직진을 해서 서래봉을 올랐다가 정상으로 가는 길도 괜찮겠다.


▲ 1214봉과 서래봉 사이에 있는 안부.


▲ 백운산 주능선은 길이 잘 나 있어 걷기에 좋다.


▲ 첫눈이 내렸던가 보다. 능선 곳곳에 눈이 쌓여있다. 첫눈 위에 발자국을 찍어보았다.


▲ 백운산 정상석. 아래 헬기장쪽엔 산림청에서 세운 커다란 백두대간 정상석이 또 있다.


▲ 하봉으로 내려서는 이정표. 중재는 백두대간길이다.


▲ 명당터로 알려져서 그런지 오래된 무덤이 많다.


▲ 묵계암으로 바로 내려서는 능선길과 상연대로 가는 길이 나뉜다. 상연대로 간다.


▲ 상연대 요사채가 높은 자리에 있다.


▲ 뒤돌아본 상연대. 신라시대 고운 최치원 선생과 관련한 전설이 전해온다.


▲ 묵계암 대웅전. 절 마당이 널찍하다.


▲ 묵계암에서 백운교로 내려오는 길은 낙엽송 단풍이 황홀하다.


[산&산] <279> 함양 백운산 산행지도
그래픽=노인호 기자 nogari@























































[산&산] <279> 함양 백운산 가는길 먹을곳
부산 사상 서부시외버스터미널(1577-8301)에서 무정차로 함양까지 곧바로 가는 직통은 하루 6차례(7:00 9:00 11:00 13:00 15:00 17:00, 요금 1만 500원, 1시간50분 소요) 있고, 진주를 거쳐가는 직행버스(3시간 소요. 1만 3천700원)는 오전 5시 40분부터 오후 7시 41분까지 8~20분 간격으로 자주 있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055-963-3281)에서 병곡, 백전을 지나 신촌까지 가는 지리산고속 군내버스(07:40 08:00 09:30 10:20 11:20 12:20 14:30 15:20 16:20 17:30 19:40, 요금 2천 원, 30분 소요)를 타고 백운교 앞에서 내리면 곧바로 산행이 시작된다.

산행을 마친 후 신촌에서 함양으로 나오는 군내버스(08:20 08:50 10:10 11:00 12:00 13:00 15:10 16:00 17:00 18:10 20:20)를 탄다. 함양에서는 부산으로 오는 직통버스(08:00 10:00 12:00 14:00 16:00 18:30)를 기다렸다가 타면 진주를 거치는 직행버스보다 빠르다.

자가용 승용차 이용하려면 남해고속도로를 탄다. 진주를 지나면 대전통영고속도로로 합류한다. 함양IC에서 내려 함양 시내를 통과한 후 상림을 지나 백전면으로 가는 국도를 타면 된다.

추어탕을 기가 막히게 잘하는 집이 있다. 함양 현지 사람들은 민물고기 어탕보다 오히려 미꾸라지로 끓인 추어탕을 더 선호한다고 한다.

함양시장에 있는 울산식당(055-963-3317)의 추어탕(6천 원)이 맛깔스럽다. 여타의 추어탕과 별반 다르지 않으나 하루가 지나니 또 먹고 싶은 생각이 든다. 어탕국수(5천 원)도 같이 취급하나 사람들은 추어탕만 찾는단다.

함께 나오는 반찬은 딱히 별스럽지는 않다. 콩비지를 간간하게 간을 해서 내놓는다. 의외로 훌륭한 반찬이다. 미역무침이나 무채도 낯설지 않다. 어머니의 손맛을 느끼고 싶은 사람이라면 추천하고 싶다. 이재희 기자
2010-11-18 [16:23:00] | 수정시간: 2010-11-24 [07:02:16] | 28면
▲ 백운교에서 바로 올라서면 백운산 등산로가 시작된다. 오른편은 백운암, 왼편은 상연대로 가는 코스이다.


▲ 길가의 키 큰 감나무가 빨간 감을 매달고 있다. 가을이 깊었는데도 거두는 사람이 없다.


▲ 백운산 큰골의 푸른 계곡, 흘러내린 낙엽이 꽃잎같다.


▲ 단풍나무가 곱다. 아랫쪽에는 간간히 단풍이 남았지만, 백운산 정상부는 이미 겨울이었다.


▲ 낙엽이 푹신하게 깔린 산길을 걷는 재미가 있다.


▲ 화과원으로 갈라지는 자리에 있는 이정표


▲절골을 한 참 올라 물을 건넌다. 식수를 준비하라고 했지만, 능선으로 오르는 길을 만나기까지 계곡을 두어차례 더 만난다.


▲ 큰골을 버리고 능선을 오르기 위해 급사면을 오른다. 된비알이 고달프지만 고도가 금세 높아지는 잇점은 있다.


▲ 된비알을 올라 지릉에 서면 서래봉으로 가는 길과 왼쪽으로 우회하는 길이 보인다. 직진을 해서 서래봉을 올랐다가 정상으로 가는 길도 괜찮겠다.


▲ 1214봉과 서래봉 사이에 있는 안부.


▲ 백운산 주능선은 길이 잘 나 있어 걷기에 좋다.


▲ 첫눈이 내렸던가 보다. 능선 곳곳에 눈이 쌓여있다. 첫눈 위에 발자국을 찍어보았다.


▲ 백운산 정상석. 아래 헬기장쪽엔 산림청에서 세운 커다란 백두대간 정상석이 또 있다.


▲ 하봉으로 내려서는 이정표. 중재는 백두대간길이다.


▲ 명당터로 알려져서 그런지 오래된 무덤이 많다.


▲ 묵계암으로 바로 내려서는 능선길과 상연대로 가는 길이 나뉜다. 상연대로 간다.


▲ 상연대 요사채가 높은 자리에 있다.


▲ 뒤돌아본 상연대. 신라시대 고운 최치원 선생과 관련한 전설이 전해온다.

총 1건 / 최대 200자

수북히 쌓인 낙엽과 계곡이 너무 잘 조화가 됐네요 멋진산행 기대가 됩니다

커피향기님의 댓글

커피향기
우리지역 명산 부산지역 명산을 소개합니다 금정산 백양산 황령/금련산 승학산 영남알프스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주간 활동순위 01.11(월) 오후 3시 기준
  • 1 ghgh11 
  • 2 울타리 
  • 3 강산여행사 
  • 4 솔바람산악회 
  • 5 그린행복산악회 
  • 6  부산일요 
  • 7  김득배 
  • 8  지니요 
  • 9  황병기 
  • 10  1355 
동호회 부산지역 동호회를 소개합니다 동호회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