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산행

원점회귀 | [산&산] <384> 함안 서북산 ~ 봉화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4,896 작성일13-09-05 14:12
주소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본문

▲ 낙남정맥과 합류하는 주능선 옆 너럭바위는 탁월한 전망 포인트다. 멀리 대구 비슬산과 창녕 화왕산, 영남 알프스 산능들이 겹겹이 포개져 넘실거리는 모습이 장관이다.
부산 근교에서는 눈 덮인 능선을 걷기란 웬만큼 운이 좋지 않고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번 주 '산&산'은 2주 전 내린 눈이 녹지 않은 경남 함안의 서북산(西北山·738.5m)과 봉화산(烽火山·674m) 능선을 탔다. 눈은 응달 능선에 발등이 파묻힐 만큼 쌓여 있었다. 뽀드득거리는 눈길을 밟아 나가는 재미는 물론이거니와, 낙남정맥 능선 곳곳에서 터지는 조망의 즐거움도 이에 못지않다.



서북산은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의 서북단에 있다. 심심해 보이는 산 이름도 지리적 위치 때문에 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북쪽 능선은 경남 함안군 여항면과 접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서북산은 함안 여항산(770m)과 연계한 산행 코스로 알려져 있다. 주로 여항산을 주봉으로 하고 서북산은 양념처럼 끼워 넣어 산행을 하곤 한다.

이 코스는 낙남정맥을 완주하려는 산꾼들에게 워낙 많이 알려져 신선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산&산'은 낙남정맥에서 살짝 벗어나 서북산 동북쪽에 위치한 함안군 여항면 봉화산과 연계한 원점 회귀 코스를 만들었다. 여항면 주동리 방면에서 출발해 서북산 정상에 오른 뒤 봉화산을 거쳐 원점으로 내려온다. 구체적 코스는 임도 표지판~너덜지대~이정표(고갯마루)~이정표(능선 삼거리)~큰 바위~서북산~이정표(재)~452봉~임도 갈림길~603봉~대부산~636봉~봉화산~임도 만남~묘지~정지병 약수터 순이다. 모두 12.3㎞ 구간으로 6시간 소요됐다. 겨울 산행 코스로는 다소 긴 편인데 일찍 출발해야 해 떨어지기 전 산행을 마칠 수 있다.


조망 탁월 거제도까지 보여

한국전쟁 전몰자 전적비 눈길

봉화산 정상부에 봉수대 남아


들머리는 여항면사무소를 지나 1021번 지방도로를 타고 좀 더 올라오면 보인다. 주곡저수지와 전원주택단지를 지나쳐 오른쪽으로 사방댐 임도 표지판이 보이면 산행을 시작한다. 이 임도는 여항산 둘레길 4구간 '치유의 길'과 연결되는데 1021번 지방도로 변에 있는 정지병 약수터와 100m가량 떨어져 있다.

서북산으로 향하는 능선에서 함안쪽으로 상별내, 하별내 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입구에서 산자락에 지어진 '나 홀로 주택'을 향해 오르막 임도를 따라 걷다 보면 제법 규모가 큰 너덜지대 두 곳을 잇달아 지나쳐 안내판과 이정표를 만난다. 첫 번째 이정표를 지나 5분가량 임도를 따라 전진하면 두 번째 이정표를 만난다. 여기서 임도를 이탈해 왼쪽 산 사면에 붙어 상별내 방면으로 오솔길 등산로를 오른다. 20분 정도 가파른 오르막을 치고 오르다 보면 고갯마루에서 길은 네 갈래로 갈린다. 계속 직진해 내리막을 내려가면 상별내와 법륜사 방면으로 가지만, 우리는 오른쪽으로 꺾어 여항산 방면 오르막 지능선을 계속 오른다.

지능선은 30분 이상 올라야 하는 된비알이다. 응달이라 눈이 녹지 않고 그대로 쌓여 있는데 발이 수시로 미끄러져 헛심을 쓴다. 바람이 불어 꽤 추운 날씨였지만 땀이 흥건히 밴다. 두세 번 미끄러지고 일어서기를 반복하면서 주능선에 올랐다. 낙남정맥에 합류하는 주능선은 세 갈래 길로 이정표가 친절하다. 왼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서북산이 1.9㎞ 남았고, 오른쪽으로 꺾어 가면 여항산까지 2㎞ 더 걸어야 한단다.

능선 삼거리 바로 옆에는 얼추 보아도 30㎡ 넓이는 됨직한 너럭바위가 배를 뒤집고 누웠다. 눈 덮인 너럭바위에 올라서니 멀리 산릉들이 겹겹이 포개져 넘실거린다. 왼쪽으로 대구의 비슬산, 창녕 화왕산과 영남알프스 산군들이 구름바다 위로 정수리만 볼록볼록 내놓고 있다. 오른쪽으로는 창원의 무학산과 김해의 불모산, 그 너머 부산의 금정산까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눈을 좀 더 오른쪽으로 옮기면 진동 앞바다와 거제도까지 보인다. 조망의 즐거움이 탁월한 전망 포인트가 아닐 수 없다.



능선 삼거리에서 서북산까지는 낙남정맥을 따라가는 완만한 길이다. 능선 길에도 눈이 녹지 않아 적설 산행의 묘미를 제대로 맛볼 수 있다. 오르막 능선에서 고생시키던 그 눈이 맞나 싶을 정도로 느낌이 확연히 다르다. 산짐승들의 발자국이 어지럽게 뒤섞인 눈길은 산행의 고단함을 씻어 준다. 폭신폭신한 순백의 담요를 밟는 듯 기분이 상쾌하다.

등산로를 막아선 큰 바위를 우회해 이정표를 하나 더 지나고 서북산 정상까지 가는 데는 30분 소요. 서북산 정상 바로 아래에는 전적비 하나가 서 있다. 전적비는 한국전쟁 당시 서북산 전투에서 전사한 로버트 티몬스 대위의 아들로 주한 미8군 사령관으로 근무하던 리처드 티몬스 중장과 국군 제39사단 장병들이 1995년 12월 세웠다. 비문의 사연은 이렇다.

'1950년 8월 낙동강 방어 전투가 한창일 때 서북산에는 미 제25사단 제5연대가 주둔했다. 미군과 인민군은 19번이나 고지를 빼앗고 뺏기는 격전을 치렀다. 결국 5연대는 마산을 거쳐 부산으로 가려던 인민군 6사단을 격퇴했다. 이 과정에서 5연대 예하 중대장 로버트 티몬스 대위와 장병 100여 명이 산화했다.'

전적비를 지나 정상에 오르니 남쪽으로 진동만의 푸른 바다가 열린다. 썰물 때라 바닷물이 물러간 개펄은 햇빛을 받아 황금색으로 빛났다. 그 개펄 너머 태평양을 향해 뻗던 앞바다는 그만 거제도에 가로막혀 주저앉아 버리고 말았다.

서북산 정상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뒤 가파른 내리막을 내려온다. 900m 정도 내려왔나 싶었는데 좁은 재를 만난다. 이 재에서 능선을 따라 봉우리를 5개나 더 넘어 2.6㎞를 가야 봉화산이다. 452봉을 지나 임도가 두 길로 갈리는 지점에서 왼쪽 오르막 임도를 잠시 따라간다. 곧 임도가 끝나고 된비알을 시작돼 603봉까지 이어진다. 40분 소요.

603봉에서 대부산까지는 다시 20분 소요. 해발 649.2m의 대부산 정상에는 대구의 한 산꾼이 판자로 만든 표지판 하나만 덜렁 놓여 있다. 초라하긴 하지만 이 표지판이 없었더라면 여기가 어딘지 알 길이 없다. 국립지리원이 발간한 2만 5천 분의 1 지도조차 봉화산으로 잘못 표기했기 때문이다.



대부산에서 잠시 내리막을 내려갔다 636봉으로 다시 올라간다. 10분 소요. 여항산에서 서북산을 거쳐 대부산을 아우르던 낙남정맥은 636봉에서 오른쪽 한치 방면으로 방향을 바꾼다. 여기서부터 봉화산 가는 길은 낙남정맥에서 벗어나 직진한다. 25분 소요.

봉화산은 멀리서 봐도 한눈에 알 수 있다. 산 정수리에 돌로 쌓은 봉수대가 선명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봉화산 봉수대는 조선 전기에 축조돼 조선 후기까지 국가 기간 연락망 역할을 했다. 진해의 봉수를 받아 의령의 가막산 봉수에 연결했다고 한다. 원래 이 산에는 5기의 봉수대가 있었는데 지금은 2기의 흔적이 발굴됐고 그 중 1기만 다시 쌓았다.

봉화산에서 마지막 하산을 준비한다. 내려가는 길은 청암으로 가는 공식 등산로에서 벗어나 왼쪽 사면을 따라 내려간다. 이 구간은 개척하다시피 해야 한다. 가파른 사면을 따라 10분 정도 내려가면 간벌 작업을 위해 인부들이 지나다닌 길을 발견할 수 있다. 산행 안내 리본을 촘촘히 붙여뒀으니 잘 보고 길을 찾는다.

20분 정도 내려오다 임도를 만나면 가로질러 계속 사면을 따라 내려간다. 이름 없는 묘지를 하나 지나 날머리인 정지병 약수터까지는 다시 20분 소요. 내리막길이 다소 험하니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산행문의 : 라이프레저부 051-461-4164. 전준배 산행대장 010-8803-8848.

글·사진=박진국 기자 gook72@busan.com

그래픽=노인호 기자 nogari@

▲ 함안 서북산 ~ 봉화산 고도표 (※ 사진을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함안 서북산 ~ 봉화산 구글 어스 (※ 사진을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산&산] <384> 함안 서북산 ~ 봉화산 산행지도 (1/32)

▲ 함안 서북산 ~ 봉화산 산행지도 (※ 사진을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산&산] <384> 함안 서북산 ~ 봉화산 가는길 먹을곳 (1/32)

찾아가기

원점회귀 산행이어서 자가승용차 이용이 편리하다.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함안IC 요금소를 빠져나와 함안문화원 방면으로 우회전한다. 79번 국도를 타고 진동 방면으로 전진한다. 함안군청을 지나 계속 직진하다 의암제2교차로에서 오른쪽 여항면사무소 방면으로 빠진다. 여항면사무소 지나서 첫 번째 삼거리를 만나면 우회전, 1021번 지방도를 타고 주곡 방면으로 간다. 주곡저수지 위 전원주택단지를 스쳐 지나면 오른쪽으로 임도 표지판이 보인다.

대중교통편은 넉넉하지 않다. 부산 서부버스터미널(1577-8301)에서 함안행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오전에는 7시 30분 첫차를 시작으로 오후 8시까지 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요금 4천900원, 소요시간 1시간 10분.

함안 도착 후 연결편이 불편하다. 여항면사무소행 버스는 자주 다니지만 들머리까지 30분을 걸어야 하고 주동리까지 가는 버스는 하루 3대, 오후에만 다닌다. 함안 시외버스터미널(1688-9060)에서 진동행 버스를 타면 여항면사무소까지 30분. 오전 6시 40분을 첫차로 1시간 내외 간격으로 다닌다. 요금 1천 원. 여항면사무소에 내린 뒤 도보로 산행 들머리까지 40분 정도 걸린다. 주동리의 들머리까지 바로 가는 버스는 오전 6시40분, 오후 2시에 있다. 요금은 1천200원.


먹을거리

산행 날머리 근처에 마땅한 식당이 없다. 차를 타고 여항면사무소 방면으로 나오다 보면 주서리에 '산촌식당'(055-582-2466)을 만날 수 있다. 한약 재료를 넣고 삶아 쌉싸름한 맛이 나는 닭백숙(4인 기준 3만 5천 원)과 풍성한 채소와 버무린 양념으로 구워 내는 오리불고기(4인 기준 3만 5천 원)이 인기가 많다. 생선구이를 비롯, 밑반찬으로 나오는 각종 나물이 정갈하고 동치미 국물도 시원하다. 하산길에 예약을 하면 식당에 도착해 바로 먹을 수 있다.

2012-12-20 [07:59:22] | 수정시간: 2012-12-26 [07:21:04] | 32면



▲ 1021번 지방도를 따라 올라가다보면 오른쪽으로 임도 표지판이 보인다. 임도를 따라 초입을 잡는다.


▲ 초입에서 임도를 따라 5~6분 올라오면 너덜지대를 가로지르게 된다.


▲ 임도를 따라 올라오다 두 번째 이정표를 만나면 왼쪽으로 꺾어 사면 오솔길로 붙는다.


▲ 된비알을 치고 오르다 고개마루에 올라서면 오른쪽 여항산 방면 오르막길을 잡는다.


▲ 낙남정맥과 합류하는 주능선 옆 너럭바위는 탁월한 전망 포인트다. 멀리 대구 비슬산과 창녕 화왕산, 영남 알프스 산능들이 겹겹이 포개져 넘실 거리는 모습이 장관이다.


▲ 주능선 삼거리에서 서북산 방면으로 전진하다 큰 바위가 길을 막으면 왼쪽으로 우회한다.


▲ 서북산으로 향하는 능선에는 눈이 녹지 않아 폭신폭신한 양탄자를 밟는 것 같은 느낌이다.


▲ 서북산 정상에서는 덕유산과 지리산 방면으로 전망이 트인다.


▲ 정상에서 내리막을 따라 900m 정도 내려오면 임도가 가로지르는 재를 만난다. 임도를 가로질러 오르막에 붙는다.


▲ 603봉을 앞두고 임도가 둘로 갈리는데 왼쪽 오르막 임도를 따라 전진한다.


▲ 대부산 정상. 국립지리원이 발간한 2만5천분의 1 지도에는 봉화산으로 잘 못 표기돼 있다.


▲ 낙남정맥은 이 지점에서 오른쪽 한치재 방면으로 빠진다. 봉화산은 직진 방면이다.


▲ 봉수대가 설치 된 산이 대게 그렇듯 봉화산도 전망이 탁월하다.


▲ 하산길은 봉수대를 조금 지나 왼쪽으로 꺾어 내리막 산사면을 따라 잡는다. 이 지점에서 청암방면으로가는 등산로를 벗어난다.


▲ 하산길에 임도를 만나면 가로질러 계속 산사면을 따라 내려간다.


▲ 정지병 약수터가 보이는 곳이 날머리다. 들머리인 임도 표지판과는 100m가량 떨어져 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3-09-05 14:17:30 기타지역 산에서 복사 됨]

총 0건 / 최대 200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리지역 명산 부산지역 명산을 소개합니다 금정산 백양산 황령/금련산 승학산 영남알프스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주간 활동순위 01.11(월) 오후 3시 기준
  • 1 ghgh11 
  • 2 울타리 
  • 3 강산여행사 
  • 4 솔바람산악회 
  • 5 그린행복산악회 
  • 6  부산일요 
  • 7  김득배 
  • 8  지니요 
  • 9  황병기 
  • 10  1355 
동호회 부산지역 동호회를 소개합니다 동호회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