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 [산&산]<43> 금정산 고당봉
페이지 정보
작성자푸른바다 조회9,533 작성일13-06-05 11:14본문
빗소리 벗 삼아 우중산행…
지루한 장마다. 그 장마가 이번 주말께 끝이 난다는 예보가 있다. 하지만 끝이 나봐야 끝을 알 수 있는 것이 이 시기 기후의 특성이다. 이럴 때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도심의 산으로 가보는 것이 어떨까. 장마라곤 하지만 비가 내리지 않는 틈새가 있고,또 비를 만난다 하더라도 큰 걱정거리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장대처럼 쏟아지는 폭우가 아니라면 산행을 계속해 보는 것도 산을 즐기는 괜찮은 방법 중의 하나다. 빗소리로 하나된 자연의 정취를 온몸으로 느껴보는 우중산행은 생각만으로도 대단한 즐거움이다.
이번 주는 금정산(801.5m)을 찾았다. 산은 설명이 따로 필요없는 부산의 진산이자 어디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 없는 전국적 명산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만으로 금정산을 찾은 것은 아니다. 금정산이 좋다는 것은 만천하가 다 아는 상식이다. 문제는 어떻게 오르는가에 있다. 아시다시피 금정산은 동쪽자락을 중심으로 등로가 잘 발달해 있다. 지금도 금정산을 오르는 사람들 중 대다수는 동쪽 자락을 통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서쪽자락을 통해 금정산(고당봉)을 오르는 것으로 코스를 꾸몄다. 등로는 동쪽자락에 비하면 아직도 한산한 편이어서 등로 상태가 깨끗하고또 호젓하다. 하지만 이런 이유에서만은 아니다.
신도시로 탈바꿈한 화명과 금곡,그리고 그 도시를 감싸며 유장하게 흐르는 낙동강을 가장 가까이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다. 여인의 가슴처럼 봉곳 솟은 고당봉의 매혹적인 모습은 이쪽 자락이 아니면 만나볼 수 없다. 성루가 없는 성문인 암문(暗門)과 서민의 미소로 천년의 세월을 지켜온 가산리 마애여래입상은 진기한 볼거리다. 물론 틈틈이 만나는 기암들은 덤이다.
산행은 북구 금곡동 지하철 2호선 율리역을 출발점으로 해서 화명·금곡동 경계능선을 따라 고당봉에 오른 뒤 마래여래입상을 보고 서쪽 계곡을 따라 내려오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 경로는 율리역 2번출구~인천유치원~화명·금곡동 경계능선~금정산성~고당봉~마애여래입상~가산리새마을~호포역 순. 걷는 시간은 3시간50분쯤 걸리며 휴식을 포함하면 5시간 안팎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지하철 두 역을 나들목으로 한 것은 산으로 쉽게 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실제로 산행 들머리는 지하철 출구에서 4분만에 닿을 수 있고 귀가편 지하철도 산을 내려와 10분이면 탈 수가 있다.
산행은 북구 금곡동 율리역에서 시작한다. 2번 출구로 나오면 화명동쪽(직진)으로 GM DAEWOO(지엠대우) 영업점이 보인다. 거리상으로는 30~40m 전방. 그 영업점을 지나 왼쪽의 산복도로로 돌아 거슬러 올라가면 2~3분쯤 걸려 산행 들머리에 닿는다. 산행 들머리는 산복도로가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곡각지점의 인천유치원과 2개의 청색 물탱크 사이로 열려 있다. 2번 출구에서 4분 소요. 들머리 건너편에 벽산강변타운 정문이 있어 참고한다.
산길로 접어들면 등로는 북구 구민들이 즐겨찾는 산책로다. 간단한 체육시설과 벤치 등이 군데군데서 나타난다. 길은 전망대인 234봉까지 조금 급하게 오르다가 남근석을 지나면서 고당봉까지는 큰 비알 없이 부드럽게 이어간다. 남근석까지 오름길(위쪽·능선 방향)로 쫓아가면 길 찾는데도 큰 무리가 없다. 중간에 만나는 갈래길은 무시한다. 인천유치원에서 첫번째 철탑까지 9분,다시 234봉까지 13분, 이후 두번째 철탑을 지나 밧줄이 매어져 있는 바위 너머 남근석까지 7분쯤 더 걸린다.
남근석을 지나면 길은 바위 사이로 조금 지나다가 전망대를 만나고서부터 부드러운 오솔길로 바뀐다. 맑은 날이면 전망대에 내려다 보이는 금곡동과 낙동강이 한결 시원하다. 남근석에서 전망대까지 5분,다시 처음으로 만나는 이정표(주공6단지 갈림길)까지 6분,다시 1분쯤 걸리면 두번째 이정표(주공4단지 갈림길)에 닿는다.
길은 두번째 이정표에서 직진방향으로 몇 발자국만 더 가면 두 갈래로 나뉜다. 왼쪽은 능선길이고 오른쪽은 사면으로 되돌아 간다. 어느 쪽을 택하든 나중에 합류한다. 오른쪽의 좋은 길을 버리고 왼쪽의 능선길을 타면 전망바위 몇 개를 에돌아 산불초소에 이른다. 두번째 이정표에서 초소까지 7분.
초소에서 길은 마루금을 타지 못하고 왼쪽의 사면으로 돌아간다. 3분쯤 지나면 두번째 이정표에서 갈라진 사면길과 합류한다. 합류지점에 이정표(금곡동 1.7㎞)가 있어 참고한다. 이후 길은 금정산성의 볼거리인 암문을 만나기 전까지 평탄한 오솔길로 이어진다. 합류지점서 오른쪽 너럭바위 전망대까지 14분이 걸린다.
암문은 전망대에서 2분 거리에 있다. 그 문을 들어서면 비로소 금정산성 안에 들어서게 된다. 석문 형태의 이 암문은 금정산에서 현재 3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문을 통과하면 이제부터 산성을 왼쪽으로 끼고 올라간다. 두번째 암문까지 5분, 키 낮은 철판 이정표가 있는 전망대 갈림길까지 8분,원효정사-금곡역 갈림길(금곡동 2.7㎞ 이정표)까지 14분,다시 미륵사 갈림길까지 7분쯤 소요.
미륵사 갈림길에서 고당봉쪽은 왼쪽이다. 미륵사는 오른쪽. 누군가가 팻말로 진행방향을 표시해 놓아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미륵사가 발아래 절벽으로 내려다 보이는 713암봉은 삼각점이 있는 무명봉을 넘어 등로에서 오른쪽으로 들어가야 만날 수 있다. 그곳에서 보는 고당봉이 특히 매혹적이어서 찾아볼 만하다. 초입에 리본을 달아 놓았으니 참고한다.
고당봉은 암봉에서 되돌아 나와 왼쪽의 산성길을 따르면 된다. 칠바위 갈림길을 지나 만나는 오른쪽의 갈림길은 고당봉으로 향하는 마루금이다. 미륵사 갈림길에서 암봉까지 8분,다시 고당봉까지 17분쯤 걸린다.
가산리 마애여래입상은 고당봉에서 오른쪽(동쪽) 암릉을 조금 따라가다 왼쪽의 로프가 걸린 바윗길로 내려서야 한다. 방향은 북쪽(장군봉·양산 다방리)으로 봤을 때 철탑 2기가 있는 곳이다. 조심스레 내려가면 잣나무 숲을 지나 이정표(장군봉 2.3㎞)를 만나고 다시 철탑 2기를 오른쪽에 두고 능선을 따라 오르면 암봉을 지나 사거리안부로 가게 된다. 고당봉에서 이정표까지 10분 다시 암봉까지 10분,사거리안부까지 5분이 걸린다.
이 구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암봉이다. 등로에서 왼쪽으로 살짝 들어갔다 되돌아 나와야 하지만 그곳에 숨겨진 풍광은 단연 압권이다. 마애여래입상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으로 기암과 절벽으로 치솟은 모습이 절경을 이룬다. 반드시 찾아보도록 한다. 역시 리본으로 초입부분을 표시해 뒀다.
마애불은 사거리안부에서 왼쪽으로 연결된다. 가는 길이 표시돼 있어 쉽게 내려설 수 있다. 사거리안부에서 3분. 천년의 미소로 살아 숨쉬는 마애불을 오른쪽에 두고 계곡으로 따라 내려가면 바로 하산이다. 요사채 아래 계곡이 다소 거칠고 때론 미끄럽지만 15~20분쯤 내려가면 이내 좋은 길로 바뀐다. 길은 계곡을 끼고 내려간다 생각하면 어렵지 않게 이어갈 수 있다. 임도까지 30분.
임도에서 내려서는 길은 임도로 가로질러 맞은편 정면으로 나와 있다. 초입부분이 숲으로 가려있지만 잘 살펴보면 힘들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후 길은 순탄하다. 히말라야시다 숲이 있는 대밭까지 10분,묵밭까지 10분,다시 양산시 동면 가산리 새마을 금호사까지 13분이 걸린다.
산행종점인 호포역은 마을에서 역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내려가 지하차도를 지나면 왼쪽으로 연결된다. 역까지 10분 소요. 산행문의 위크앤조이 레저팀 051-461-4161,박낙병 산행대장 011-862-6838. 글·사진=진용성기자 ysjin@busanilbo.com
진용성 기자 20050714T095725 | 수정시간: 2009-01-11 [19:59:40] | 37면
이번 주는 금정산(801.5m)을 찾았다. 산은 설명이 따로 필요없는 부산의 진산이자 어디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 없는 전국적 명산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만으로 금정산을 찾은 것은 아니다. 금정산이 좋다는 것은 만천하가 다 아는 상식이다. 문제는 어떻게 오르는가에 있다. 아시다시피 금정산은 동쪽자락을 중심으로 등로가 잘 발달해 있다. 지금도 금정산을 오르는 사람들 중 대다수는 동쪽 자락을 통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서쪽자락을 통해 금정산(고당봉)을 오르는 것으로 코스를 꾸몄다. 등로는 동쪽자락에 비하면 아직도 한산한 편이어서 등로 상태가 깨끗하고또 호젓하다. 하지만 이런 이유에서만은 아니다.
신도시로 탈바꿈한 화명과 금곡,그리고 그 도시를 감싸며 유장하게 흐르는 낙동강을 가장 가까이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다. 여인의 가슴처럼 봉곳 솟은 고당봉의 매혹적인 모습은 이쪽 자락이 아니면 만나볼 수 없다. 성루가 없는 성문인 암문(暗門)과 서민의 미소로 천년의 세월을 지켜온 가산리 마애여래입상은 진기한 볼거리다. 물론 틈틈이 만나는 기암들은 덤이다.
산행은 북구 금곡동 지하철 2호선 율리역을 출발점으로 해서 화명·금곡동 경계능선을 따라 고당봉에 오른 뒤 마래여래입상을 보고 서쪽 계곡을 따라 내려오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 경로는 율리역 2번출구~인천유치원~화명·금곡동 경계능선~금정산성~고당봉~마애여래입상~가산리새마을~호포역 순. 걷는 시간은 3시간50분쯤 걸리며 휴식을 포함하면 5시간 안팎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지하철 두 역을 나들목으로 한 것은 산으로 쉽게 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실제로 산행 들머리는 지하철 출구에서 4분만에 닿을 수 있고 귀가편 지하철도 산을 내려와 10분이면 탈 수가 있다.
산행은 북구 금곡동 율리역에서 시작한다. 2번 출구로 나오면 화명동쪽(직진)으로 GM DAEWOO(지엠대우) 영업점이 보인다. 거리상으로는 30~40m 전방. 그 영업점을 지나 왼쪽의 산복도로로 돌아 거슬러 올라가면 2~3분쯤 걸려 산행 들머리에 닿는다. 산행 들머리는 산복도로가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곡각지점의 인천유치원과 2개의 청색 물탱크 사이로 열려 있다. 2번 출구에서 4분 소요. 들머리 건너편에 벽산강변타운 정문이 있어 참고한다.
산길로 접어들면 등로는 북구 구민들이 즐겨찾는 산책로다. 간단한 체육시설과 벤치 등이 군데군데서 나타난다. 길은 전망대인 234봉까지 조금 급하게 오르다가 남근석을 지나면서 고당봉까지는 큰 비알 없이 부드럽게 이어간다. 남근석까지 오름길(위쪽·능선 방향)로 쫓아가면 길 찾는데도 큰 무리가 없다. 중간에 만나는 갈래길은 무시한다. 인천유치원에서 첫번째 철탑까지 9분,다시 234봉까지 13분, 이후 두번째 철탑을 지나 밧줄이 매어져 있는 바위 너머 남근석까지 7분쯤 더 걸린다.
남근석을 지나면 길은 바위 사이로 조금 지나다가 전망대를 만나고서부터 부드러운 오솔길로 바뀐다. 맑은 날이면 전망대에 내려다 보이는 금곡동과 낙동강이 한결 시원하다. 남근석에서 전망대까지 5분,다시 처음으로 만나는 이정표(주공6단지 갈림길)까지 6분,다시 1분쯤 걸리면 두번째 이정표(주공4단지 갈림길)에 닿는다.
길은 두번째 이정표에서 직진방향으로 몇 발자국만 더 가면 두 갈래로 나뉜다. 왼쪽은 능선길이고 오른쪽은 사면으로 되돌아 간다. 어느 쪽을 택하든 나중에 합류한다. 오른쪽의 좋은 길을 버리고 왼쪽의 능선길을 타면 전망바위 몇 개를 에돌아 산불초소에 이른다. 두번째 이정표에서 초소까지 7분.
초소에서 길은 마루금을 타지 못하고 왼쪽의 사면으로 돌아간다. 3분쯤 지나면 두번째 이정표에서 갈라진 사면길과 합류한다. 합류지점에 이정표(금곡동 1.7㎞)가 있어 참고한다. 이후 길은 금정산성의 볼거리인 암문을 만나기 전까지 평탄한 오솔길로 이어진다. 합류지점서 오른쪽 너럭바위 전망대까지 14분이 걸린다.
암문은 전망대에서 2분 거리에 있다. 그 문을 들어서면 비로소 금정산성 안에 들어서게 된다. 석문 형태의 이 암문은 금정산에서 현재 3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문을 통과하면 이제부터 산성을 왼쪽으로 끼고 올라간다. 두번째 암문까지 5분, 키 낮은 철판 이정표가 있는 전망대 갈림길까지 8분,원효정사-금곡역 갈림길(금곡동 2.7㎞ 이정표)까지 14분,다시 미륵사 갈림길까지 7분쯤 소요.
미륵사 갈림길에서 고당봉쪽은 왼쪽이다. 미륵사는 오른쪽. 누군가가 팻말로 진행방향을 표시해 놓아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미륵사가 발아래 절벽으로 내려다 보이는 713암봉은 삼각점이 있는 무명봉을 넘어 등로에서 오른쪽으로 들어가야 만날 수 있다. 그곳에서 보는 고당봉이 특히 매혹적이어서 찾아볼 만하다. 초입에 리본을 달아 놓았으니 참고한다.
고당봉은 암봉에서 되돌아 나와 왼쪽의 산성길을 따르면 된다. 칠바위 갈림길을 지나 만나는 오른쪽의 갈림길은 고당봉으로 향하는 마루금이다. 미륵사 갈림길에서 암봉까지 8분,다시 고당봉까지 17분쯤 걸린다.
가산리 마애여래입상은 고당봉에서 오른쪽(동쪽) 암릉을 조금 따라가다 왼쪽의 로프가 걸린 바윗길로 내려서야 한다. 방향은 북쪽(장군봉·양산 다방리)으로 봤을 때 철탑 2기가 있는 곳이다. 조심스레 내려가면 잣나무 숲을 지나 이정표(장군봉 2.3㎞)를 만나고 다시 철탑 2기를 오른쪽에 두고 능선을 따라 오르면 암봉을 지나 사거리안부로 가게 된다. 고당봉에서 이정표까지 10분 다시 암봉까지 10분,사거리안부까지 5분이 걸린다.
이 구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암봉이다. 등로에서 왼쪽으로 살짝 들어갔다 되돌아 나와야 하지만 그곳에 숨겨진 풍광은 단연 압권이다. 마애여래입상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으로 기암과 절벽으로 치솟은 모습이 절경을 이룬다. 반드시 찾아보도록 한다. 역시 리본으로 초입부분을 표시해 뒀다.
마애불은 사거리안부에서 왼쪽으로 연결된다. 가는 길이 표시돼 있어 쉽게 내려설 수 있다. 사거리안부에서 3분. 천년의 미소로 살아 숨쉬는 마애불을 오른쪽에 두고 계곡으로 따라 내려가면 바로 하산이다. 요사채 아래 계곡이 다소 거칠고 때론 미끄럽지만 15~20분쯤 내려가면 이내 좋은 길로 바뀐다. 길은 계곡을 끼고 내려간다 생각하면 어렵지 않게 이어갈 수 있다. 임도까지 30분.
임도에서 내려서는 길은 임도로 가로질러 맞은편 정면으로 나와 있다. 초입부분이 숲으로 가려있지만 잘 살펴보면 힘들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후 길은 순탄하다. 히말라야시다 숲이 있는 대밭까지 10분,묵밭까지 10분,다시 양산시 동면 가산리 새마을 금호사까지 13분이 걸린다.
산행종점인 호포역은 마을에서 역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내려가 지하차도를 지나면 왼쪽으로 연결된다. 역까지 10분 소요. 산행문의 위크앤조이 레저팀 051-461-4161,박낙병 산행대장 011-862-6838. 글·사진=진용성기자 ysjin@busanilbo.com
[산&산] 금정산 고당봉 개념도
![]() |
진용성 기자 20050714T095725 | 수정시간: 2009-01-11 [19:59:40] | 37면
총 2건 / 최대 200자
찾기도 힘드시겠는데 대단합니다~!!
개인정보 못가르쳐 줘요.. 죄송합니다님의 댓글
개인정보 못가르쳐 줘요.. …이미지 사진이 첨부 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