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알프스 | 울산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새 노선
페이지 정보
작성자펀부산 조회2,153 작성일16-08-02 15:03본문
울산 영남알프스 행복케이블카 설치 사업이 이번엔 착공될 수 있을까. 울산시와 울주군이 환경단체 등의 의견을 반영한 새로운 케이블카 노선을 4개월 만에 확정하면서 사업 추진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최근 신불산 군립공원위원회를 열어 '영남알프스 행복케이블카 노선'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시와 군이 지난 3월 행복케이블카 노선의 전면 재검토를 발표한 지 4개월여 만이다.
시·울주군, 도착지 변경
기존 노선보다 0.61㎞ 단축
사업비도 98억 원 줄어
환경평가협의 완료되면
내년 7월 착공 예정
환경·종교단체 입장 관건
새로 확정된 노선은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간월재 동측 1.85㎞ 구간. 처음 계획했던 노선인 복합웰컴센터∼신불산 서북측 2.46㎞보다 0.61㎞가 짧아졌다. 출발지는 같지만, 도착지인 상부 정류장을 신불산 서북측에서 간월재 동측으로 바꿨다. 구간이 줄어들면서 공사비도 588억 원에서 490억 원으로 98억 원이 줄었다. 사업비는 시와 군이 각각 50%씩 분담한다.
연간 예상 탑승객은 71만 명에서 69만 명으로 조금 줄었지만, 사업비가 많이 줄면서 사업 경제성은 다소 높아졌다. 특히 '생태축 우선 원칙 위반과 백두대간 정맥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위배 논란에 휩싸였던 상부 정류장의 위치를 새 노선에서는 우측으로 옮겨 설치하도록 해 환경성도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됐다.
시와 군은 이달 중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낙동강유역환경청에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완료되면 편입 부지 보상과 함께 내년 7월 공사를 시작해 2018년 말 완공할 예정이다.
하지만 관건은 지역 환경단체와 종교단체의 입장이다. 별다른 반대가 없으면 시와 군의 계획대로 추진되겠지만, 반대할 경우 사업 자체가 또 늦어질 수밖에 없다.
지역 환경단체와 통도사 등 종교단체들은 지난해 10월 당시 확정된 복합웰컴센터∼신불산 서북측 구간 노선에 대해 환경 파괴와 예산 낭비를 초래하는 무분별한 사업이라며 사업 중단과 함께 소송을 제기했었다. 또 낙동강환경청도 '자연공원법의 생태축 우선 원칙 위반과 백두대간 정맥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위배 여지가 크다며 불가 입장을 밝혀 시와 군의 노선 재검토를 압박했다.
군 관계자는 "새로운 노선은 조망권과 관광자원 연계성은 물론 환경부와 시민단체, 종교단체의 의견까지 수렴해 결정한 것"이라며 "케이블카가 완공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불산 케이블카 사업은 1990년대 후반 민간사업자가 추진을 시작했지만, 환경 훼손과 사업비 미확보 등으로 무산됐다. 이후 2013년 시와 군이 공영개발로 전환하면서 속도를 냈지만, 역시 환경단체와 불교계의 반대에 부딪혔다.
김태권·권승혁 기자 ktg660@busan.com
울산시와 울주군은 최근 신불산 군립공원위원회를 열어 '영남알프스 행복케이블카 노선'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시와 군이 지난 3월 행복케이블카 노선의 전면 재검토를 발표한 지 4개월여 만이다.
시·울주군, 도착지 변경
기존 노선보다 0.61㎞ 단축
사업비도 98억 원 줄어
환경평가협의 완료되면
내년 7월 착공 예정
환경·종교단체 입장 관건
새로 확정된 노선은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간월재 동측 1.85㎞ 구간. 처음 계획했던 노선인 복합웰컴센터∼신불산 서북측 2.46㎞보다 0.61㎞가 짧아졌다. 출발지는 같지만, 도착지인 상부 정류장을 신불산 서북측에서 간월재 동측으로 바꿨다. 구간이 줄어들면서 공사비도 588억 원에서 490억 원으로 98억 원이 줄었다. 사업비는 시와 군이 각각 50%씩 분담한다.
연간 예상 탑승객은 71만 명에서 69만 명으로 조금 줄었지만, 사업비가 많이 줄면서 사업 경제성은 다소 높아졌다. 특히 '생태축 우선 원칙 위반과 백두대간 정맥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위배 논란에 휩싸였던 상부 정류장의 위치를 새 노선에서는 우측으로 옮겨 설치하도록 해 환경성도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됐다.
시와 군은 이달 중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낙동강유역환경청에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완료되면 편입 부지 보상과 함께 내년 7월 공사를 시작해 2018년 말 완공할 예정이다.
하지만 관건은 지역 환경단체와 종교단체의 입장이다. 별다른 반대가 없으면 시와 군의 계획대로 추진되겠지만, 반대할 경우 사업 자체가 또 늦어질 수밖에 없다.
지역 환경단체와 통도사 등 종교단체들은 지난해 10월 당시 확정된 복합웰컴센터∼신불산 서북측 구간 노선에 대해 환경 파괴와 예산 낭비를 초래하는 무분별한 사업이라며 사업 중단과 함께 소송을 제기했었다. 또 낙동강환경청도 '자연공원법의 생태축 우선 원칙 위반과 백두대간 정맥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위배 여지가 크다며 불가 입장을 밝혀 시와 군의 노선 재검토를 압박했다.
군 관계자는 "새로운 노선은 조망권과 관광자원 연계성은 물론 환경부와 시민단체, 종교단체의 의견까지 수렴해 결정한 것"이라며 "케이블카가 완공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불산 케이블카 사업은 1990년대 후반 민간사업자가 추진을 시작했지만, 환경 훼손과 사업비 미확보 등으로 무산됐다. 이후 2013년 시와 군이 공영개발로 전환하면서 속도를 냈지만, 역시 환경단체와 불교계의 반대에 부딪혔다.
김태권·권승혁 기자 ktg660@busan.com
총 0건 / 최대 200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